밈 공부(470)
-
드릉드릉 뜻 유래 예시
드릉드릉의 뜻은 뭔가 몹시 하고싶어서 안달난 상황이나 상태를 의미한다. 드릉드릉은 과거에는 코를 고는 소리로 많이 쓰였으나 어느 순간 이후로는 자연스레 의미가 바뀌어갔다. 드릉드릉 뜻'드릉드릉'은 원래 의성어로 사용되던 단어가 인터넷 문화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된 경우이다. 드릉드릉의 과거 뜻은1. 크게 자꾸 울리는 소리 2. 짧게 코를 자꾸 고는 소리 3. 자동차 시동을 거는 소리 였으나, 요즘에는 드릉드릉의 의미는 매우 몹시 뭔가 하고싶을때 내는 소리로 드릉드릉이라고 한다. 드릉드릉 유래2008년 개그우먼 김신영이 예능 프로그램에서 "손톱이 드릉드릉하다"라고 표현한 것을 계기로, 이 단어는 온라인 상에서 새로운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어떤 일을 하고 싶어 안달이 난 상태 2. 무언가에 대..
2025.01.23 -
훈지 뜻 유래 예시
훈지의 뜻은 훈훈한지원의 줄임말로, 일상생활에서는 당근마켓의 '나눔'과 같은 의미이다. 훈지는 주로 게임, 그 중에서도 RPG(롤플레잉) 게임에서 나타나는 용어이다. 훈지를 하는 내용은 게임머니가 될 수도 있고, 스트리밍 컨텐츠를 위한 각종 주문서, 혹은 경험치 쩔 등 다양한 형태로 훈지가 가능하다. 훈지 뜻'훈지'는 '훈훈한 지원'의 줄임말로, 일상생활에서는 '나눔'이라는 단어가 더 많이 쓰이고 rpg게임에서는 훈지라는 표현으로 많이 쓰인다.훈지 유래훈지 유래는 2000년대 중반 온라인 게임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래한 용어다. 훈지 종류로는1. 게임에서 고수 유저가 초보 유저에게 아이템이나 게임 머니를 지원해주는 행위2.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누군가에게 도움이나 후원을 제공하는 행위3. 경험치지원..
2025.01.19 -
보올탱 뜻 유래 드립 예시
보올탱의 뜻은 볼을 만지작 거린다는 의미로 사이가 안좋은 사이나 라이벌리가 있는 사이에서 화해의 무드가 조성되는 순간을 의미한다. 보올탱은 리그오브레전드 갤러리에서 드립이 유래하였다. 보올탱 뜻보올탱은 볼을 늘려서 귀엽게 표현한 것으로 볼따구의 다른 표현이다. 보올탱은 볼이라는 얼굴의 부위 외에도 볼을 만질 정도로 화해 무드가 생기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 전에 갈드컵이 열리거나 안좋은 분위기에서 좋은 분위기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보올탱 듀오보올탱듀오는 페이커와 쵸비를 지칭하는 밈이나 유머코드나 팬픽으로 쓰인다. 그래서 보올탱 듀오 입갤 등의 표현을 쓰는데, 처음에는 팬픽느낌이 강했다가 이후에는 귀여움을 표현하거나 화해무드를 표현하는 쪽 밈으로 확산되고있다. 보올탱 드립 보올탱 입갤!보올탱ㅋㅋ
2025.01.11 -
탬플릿 뜻 드립 템플릿 영어로
템플릿(Template)의 뜻은 양식을 의미하는데 같은 내용이 반복될 때 문구나 내용을 만들어두고 재활용 하는 것이다. 이런 탬플릿은 문서작성, PT발표, 디자인 , 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지만 템플릿 드립은 조금 다르다. 탬플릿 드립은 다른 곳에서 본 내용을 누군가 또 퍼나르거나 복붙할 때 쓰는 표현이다. 탬플릿 뜻탬플릿은 영어로 template이다. 탬플릿과 템플릿은 같은 표현이며 템플릿은 1670년대에 영어로 처음 등장한 단어로, 프랑스어 'templet'에서 유래했다. 프랑스어 'templet'은 "직물을 펴는 장치"를 의미하는 'temple'의 축소형이다. 이는 라틴어 'templum'(판자, 서까래)에서 왔으며, 이 단어는 또한 "성스러운 장소"라는 뜻도 가지고 있었다. 처음 탬플릿의..
2025.01.01 -
시무식 뜻 식순 퇴근 현수막 ppt 예문
시무식은 종무식과 반대되는 의미로 새 해 첫 업무날 하는 행사를 의미한다. 시무식 때는 올해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고 임원급 이상의 높은 사람들의 훈화로 이어진다. 시무식때는 일찍 퇴근하는 곳은 잘 없고 보통 오전 10시에 시무식을 하는 곳이 많다. 시무식 뜻시무식은 새해 업무를 시작하는 첫날에 진행되는 공식적인 행사이다. 주요 목적은 새해 업무의 시작을 공식화하고, 조직의 목표와 비전을 공유하며, 구성원들의 의지와 결속을 다지는 것이다. 시무식의 유래시무식의 역사는 고대 중국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에서는 음력 1월에 시무식을 열어 새해 업무를 시작했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 시대를 거쳐 근대 이후에도 이어졌다. 한국에서는 1900년대 초부터 기업에서 시무식이 정기적으로 개최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주로..
2024.12.31 -
둔덕 뜻 유래 콘크리트
둔덕은 언덕의 또다른 말로 둔덕의 뜻은 땅이 튀어나오거나 솟아오른 지형을 의미한다. 둔덕은 영어로 low hill , mound, berm등의 표현이 있다. 둔덕은 일반적으로 산과 언덕, 해안가, 성곽에 위치하지만 공사현장이나 공항에서도 볼 수 있다. 둔덕 뜻둔덕의 뜻은 언덕이다. 둔덕은 땅이 비탈진 곳이자 주변보다 높이 솟아오른 비교적 좁은 지형을 가리킨다. 둔덕 유래 둔덕이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거제도 둔덕면의 경우, '덕이 머문다'는 뜻으로 임금이 머물며 생긴 지명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고려 의종이 상하둔에 호위군 주둔지를 두고 넓은 들판에 둔전(屯田)을 설치해 식량을 생산 공급하면서 생겨난 지명이라는 설도 있다. 그리고 '둔(屯)'은 중심산을 뜻하는 'ᄆᆞᆯ~ᄆᆞᄅ..
2024.12.30 -
철새 도래지 뜻 유래 사례 위치
도래지의 뜻은 철마다 옮겨다니는 철새들이 머무는 장소를 의미한다. 도래지의 위치로 대표적인 곳은 한강하구, 무안, 순천만, 낙동강, 천수만이 있다. 도래지 뜻도래지(渡來地)의 뜻은 철새들이 날아와 머무는 곳을 의미한다. '도래'는 '건너오다'라는 뜻의 한자어로, 철새들이 먼 거리를 날아와 일정 기간 머무는 장소를 가리킨다. 도래지 유래渡 (도): 건너다, 건너오다來 (래): 오다, 도착하다地 (지): 땅, 장소도래지는 문화 또는 종교가 밖(국내 밖)에서 처음 들어오는 곳을 의미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철새 종류철새 종류특징두루미우아한 자태와 긴 다리로 유명, 습지에서 서식기러기V자 대형으로 비행, 겨울에 남하제비봄에 찾아와 가을에 떠나는 대표적인 여름철새청둥오리겨울철새로 호수와 습지에서 흔히 관..
2024.12.30 -
최강록 나야 드립 밈 곁들인 뜻
나야 00 드립은, 흑백요리사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최강록 셰프의 드립이다. 흑백요리사에서 들기름 무조림을 선보인 최강록 셰프가 '나야 들기름' 이라는 표현을 쓰며 밈이 화제되었다. 그런데, 00를 곁들인 같은 표현도 함께 드립으로 쓰이고 있다. 나야 드립 유래나야 들기름 드립은 흑백요리사에서 최강록셰프가 승우아빠와의 대전에서 나온 말이다. 먹었을 때 들기름이 느껴진다는 표현을 '나야 들기름'이라는 애드립으로 승화했고 이후 많은 드립이 파생되었다. 나야 000 드립 활용나야 000에서, 000는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존재감을 드러내는데 쓰거나, 뭔가 실패를 할 때 쓰거나, 멋진 플레이를 할 때 쓰거나 활용할 수 있다.ex)나야 방구석쉪나야 참기름나야 재수생 곁들인 드립나야 드립처럼 함께 활용되는게 ..
2024.09.28 -
나 인데 이거 맞다 개추 눌렀다 뜻 밈 짤
나 00 인데 이거 맞다의 뜻은 내가 그 사람은 아니지만 동의한다는 의미이다. 원조 드립은 유튜브 중 하니 painkiller ai cover 곡에서 유래했다. 이후 이 드립은 나 누구인데 개추 눌렀다, 나 누구인데 이거 맞다, 누구는 그런 말투 안써요 라는 파생 밈이 발생했다. 1. 나 인데 이거 맞다 개추 눌렀다 뜻나 00인데 이거 맞다, 나 00인데 개추 눌렀다 뜻은 나도 동의한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여기서 그냥 동의가 아니라 당사자라도 이건 맞다고 할 것이다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실제로 해당 당사자는 보통 유명인이라 개추를 누르거나 '댓글을 달 리가 없지만' 당사자라도 누를 것이라 예상되는 점에서 약간의 웃음벨이 있는 드립이다. 이 드립과 유사한 것은 '00 애미도 못알아보겠다 : 분장을 비..
2024.06.30 -
지금이니 뜻 드립 짤 유래
지금이니의 뜻은 지금 사야하냐는 의미로 타이밍에 대한 질문을 의미한다. 지금이니의 유래는 과거 2011년 흑드라군 시절로 유래하나 최근들어서는 유명 투자방송 스트리머들이 활용하면서 확산되었다. 1. 지금이니 뜻 뭔가를 살 때 '지금이니'라는 표현을 쓴다. 지금이니의 뜻은 그래서 '지금 타이밍이 적절하냐?'라고 묻는 것과 같다. 2. 지금이니 드립 유래 최근에는 투자판에서 많이 쓰이지만 과거에는 와우나 흑드라군 밈 시절인 2011년경 부터 쓰인 오래된 표현이다. 3. 지금이니 밈가상화폐, 주식 등 다양한 투자방송과 인방에서 쓰이면서 지금이니는 지금 사야하냐는 호들갑스러운 느낌의 제스처가 포함된다. 그래서 지금이야? , 지금이니? , 지금 사? 라는 표현으로 쓴다. 이 표현은 사실 묻지도 따지지..
2024.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