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5)
-
LH 직원 수사
내부에서는 신경도 안씀 이라고 글을 쓴 LH 직원 글을 수사한다는 소식이다. 블라인드 앱에 올라온 글에 대해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명예훼손과 모욕,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서에 고발했다. 경찰은 15일 수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하면서 국민적 관심도를 고려해 수사를 신속하게 진행한다고 한다. 해당 LH직원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글로 인해 LH는 불난 집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었고 국민적인 공분을 사게 되었다. 이에 LH측은 해당 인물이 현직원으로 알려지면 파면에 처한다고도 하였다. LH 직원 수사 왜? : LH 직원의 조롱으로 인한 LH 측의 명예훼손 이슈 : 블라인드 앱에서 특정인을 찾을 수 있을지, 실제 처벌 가능한 법령이 적용 될지 현재는 : LH가 경찰에 고발하여 수사 진행 예정 블라인드 앱 블라인드는 재..
2021.03.15 -
LH 고위간부 투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고위 간부가 오늘 스스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고 한다. 오늘 오전 분당의 아파트에서 지나가던 시민이 해당 간부를 발견했고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결국 숨졌다고 한다. 해당 고위간부는 전북 본부장을 지냈고 유서에는 전북에서 본부장 근무 당시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해 국민들께 죄송하다는 내용을 담았다고 한다. 해당 간부는 정년이 1년 남았다고 한다. LH 고위 간부 투신 사건일 : 2021.03.12 오전 09:40 내용 : LH 전 전북지역본부장 지낸 고위간부의 투신사고 LH 고위간부 투신 사건에 대한 뉴스기사 베플이다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죠 아는사람은 다아는 수십년전부터 LH뿐만이 아니라 관련공무원 이해관계자 경찰 검찰 지방유지 다들 알고잇는 내용이죠 이번기회에 뿌리뽑혓음 좋겟네요 ..
2021.03.12 -
LH 직원 막말
블라인드앱 LH 직원이 막말을 하여 공분을 사고 있는 중이다. 각종 커뮤니티에는 내부에서는 신경도 안씀이라는 글이 돌며 공분을 사고 있다. 해당 글에서는 어차피 한두달만 지나면 사람들 기억에서 잊혀져 물 흐르듯이 지나간다, 털어봐야 차명으로 다 해놨는데 어떻게 찾을거냐. 암만 열폭해도 난 열심히 차명으로 투기하면서 정년까지 꿀 빨면서 다니련다, 이게 우리 회사의 혜택이자 복지다. 꼬우면 우리 회사로 이직하던가, 공부 못해서 못 와놓고 꼬투리 하나 잡았다고 조리돌림이라는 내용을 올려 논란을 키우고 있다. LH 직원 막말 블라인드는 LH 메일을 인증해야해서 LH소속이거나 퇴직한사람 중에만 글을 쓸 수 있다. 직원이 만명이 넘다보니 많은 의견이 나오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번 글은 LH에 대해 실망한 국민들에게 ..
2021.03.10 -
LH 대토보상 뜻 / 땅투기
LH 직원들의 시흥 광명 땅투기 의혹으로 대토보상 때문으로 알려져있는데 실제로는 아파트 입주권을 노린 것이다. 대토보상은 토지에 대한 보상금을 현금 채권이 아닌 땅으로 받는 보상을 말한다. 대토보상을 받기 위해서 200㎡양도가 필요하다. 이는 토지보상 외의 추가 인센티브와는 다르다. 1000 ㎡ 이상의 토지를 사업 시행자에게(LH) 양도 시 단독주택용지를 일반인보다 우선 받는 택지우선 분양권을 받을 수 있다. 국토부는 2020년 9월에 공공택지 주택 특별공급 관련 조항을 신설해 1000㎡ 이상 토지 소유주가 신도시 아파트 입주권을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LH 직원들이 토지를 매입한 시점은 국토부 입법예고 전 시점이다. 따라서 LH 직원들이 내부 정보를 미리 알고 1000㎡ 기준에 맞춰 토지를 쪼개서 매입..
2021.03.08 -
LH 희귀수종 / 시흥 광명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이 광명과 시흥에 3기 신도시로 지정되기 직전에 땅을 매입하고, 희귀수종을 심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토지보상금을 올리기 위한 방법이라고 한다. LH직원은 희귀수종으로 알려진 왕버들 나무를 광명시흥지구에 심었다고 한다. 이럴 경우 토지보상법 시행규칙에 따라 보상금을 높게 받는다고 한다. LH 희귀수종 LH 직원은 2017∼2020년 광명시흥지구 내 토지를 사서 희귀수종으로 알려진 왕버들 나무를 심었다. 이러한 방법은 높은 보상을 받기 위한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한 감평사는 짧은 간격으로 심으면 밀식으로 평가한다고 한다. 토지보상법 시행규칙에는 수목의 손실에 대한 보상금액은 정상적으로 한 식재상태 기준으로 한 평가액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였다. 하지만 ..
2021.03.08